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은 독일의 낭만주의 문학 이론가이자 비평가, 번역가, 인도학 연구자로, 1767년 하노버에서 태어나 1845년 본에서 사망했다. 그는 동생 프리드리히 슐레겔과 함께 슐레겔 형제로 불리며 낭만주의 운동을 이끌었고,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독일어로 번역하여 셰익스피어를 독일 국민 시인으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또한, 독일 낭만주의의 시조로 활동하며, 셰익스피어, 페드로 칼데론 데 라 바르카 등의 작품을 번역하고, 산스크리트 연구를 통해 인도 사상을 독일에 소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어-독일어 번역가 - 크리스토프 마르틴 빌란트
크리스토프 마르틴 빌란트는 독일의 시인이자 소설가, 번역가, 편집자로서, 계몽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작가 중 한 명이며, 심리 소설 발달에 기여하고 셰익스피어 희곡 번역과 문학 평론지 편집을 통해 독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페인어-독일어 번역가 - 루트비히 티크
루트비히 티크는 독일 초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소설가, 시인, 극작가 등으로 활동하며, 셰익스피어 작품 번역 및 편집에도 기여했고, 말년에는 비평가로 활동했다. - 독일의 문학 평론가 - 빌헬름 딜타이
빌헬름 딜타이는 독일에서 태어난 철학자, 역사가, 교육학자로, 역사주의 철학을 발전시키고 '정신과학'을 정립하려 했으며, '이해' 개념을 중심으로 인문과학 이론을 구축하여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삶의 철학'으로 불리는 사상을 남겼다. - 독일의 문학 평론가 - 막스 호르크하이머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주요 인물로서, 비판 이론을 발전시켜 사회와 문화를 비판하고 도구적 이성에 대한 비판, 계몽의 변증법, 권위주의 비판 등의 사상을 제시했으며, 《계몽의 변증법》 등의 저서를 남겼다.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슐레겔 |
원어 이름 | August Wilhelm von Schlegel |
로마자 표기 | Auseukeuteu Wileuhelreum Pon Syuregel |
출생일 | 1767년 9월 8일 |
출생지 | 하노버, 하노버 선제후국, 신성 로마 제국 |
사망일 | 1845년 5월 12일 (77세) |
사망지 | 본, 라인주, 프로이센 왕국 |
국적 | 신성 로마 제국 |
학력 및 경력 | |
모교 | 괴팅겐 대학교 |
소속 기관 | 본 대학교 |
활동 시기 | 19세기 |
사상 및 관심 분야 | |
학파 | 예나 낭만주의 역사주의 |
주요 관심사 | 언어학 역사철학 |
주요 아이디어 | 미학 이론 문학사 인도학 |
기타 | |
직업 | 시인 번역가 비평가 작가 |
2. 생애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은 1767년 9월 8일 하노버에서 루터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동생은 낭만주의 문학의 주요 인물인 프리드리히 슐레겔이며, 두 사람은 '슐레겔 형제'로 불리며 독일 낭만주의 운동을 이끌었다. 괴팅겐 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예나로 이주하여 쉴러, 피히테 등 당대 독일 지성들과 교류했다.
1796년 카롤리네와 결혼했으며, 1798년에는 예나 대학의 명예교수가 되었다. 이 시기 그는 동생과 함께 낭만주의 잡지 《아테네움》(Athenaeum|아테네움de)을 창간하고 주재했으며, 루트비히 티크 등과 함께 셰익스피어 작품을 독일어로 번역하는 등 활발한 문예 활동을 펼쳤다. 그의 셰익스피어 번역은 독일 문학사에서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당대 인기 극작가였던 아우구스트 코체부와 문학적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1802년에는 베를린으로 활동 무대를 옮겨 미학과 문학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그는 스페인 극작가 칼데론의 작품을 번역했으며,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의 서정시를 모아 번역한 시선집을 출간하기도 했다. 1804년 카롤리네와 이혼한 뒤, 프랑스의 저명한 작가 (스타엘 부인)과 깊은 관계를 맺고 여러 지역을 함께 여행했다. 이 시기에 그는 프랑스 고전주의를 비판하고 낭만주의 문학 이론을 체계화한 저서 『극적 예술과 문학』(Über dramatische Kunst und Literatur|위버 드라마티셰 쿤스트 운트 리터라투어de)을 출판하여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쳤다.
1813년에는 스웨덴의 카를 13세 국왕의 비서로 잠시 활동하기도 했다. 1818년 본 대학 교수로 임명되어 세상을 떠날 때까지 문학과 미학을 강의했다. 특히 말년에는 인도학 연구에 몰두하여, 『바가바드 기타』를 라틴어로 번역하고 출판하는 등 독일 내 산스크리트 연구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그의 제자 중에는 후에 유명한 시인이 된 하인리히 하이네도 있었다. 1845년 5월 12일 본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767-1795)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은 1767년 9월 8일, 하노버에서 루터교 목사인 아버지 요한 아돌프 슐레겔(Johann Adolf Schlegel)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하노버 김나지움과 괴팅겐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처음에는 신학을 공부했으나, 크리스티안 고틀로브 하이네(Christian Gottlob Heyne) 밑에서 철저한 언어학 훈련을 받았다. 또한 단테 알리기에리, 페트라르카, 윌리엄 셰익스피어를 깊이 연구했으며, 괴테의 열렬한 팬이자 친구가 되었다.
괴팅겐 시절 슐레겔은 카롤리네 셸링과 빌헬름 폰 훔볼트를 만났다. 1790년에는 그의 동생 카를 빌헬름 프리드리히 슐레겔이 괴팅겐으로 왔다. 두 형제는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 임마누엘 칸트, 티베리우스 헴스터후이스(Tiberius Hemsterhuis), 요한 빈켈만, 카를 테오도르 폰 달베르크(Karl Theodor von Dalberg) 등 당대 주요 사상가들의 영향을 받았다.
1791년부터 1795년까지 슐레겔은 암스테르담 헤렌그라흐트 476에 살면서 네덜란드 은행가의 아들인 빌렘 페르디난드 모게 뮐만(Willem Ferdinand Mogge Muilman)의 가정교사로 일했다.[3]
2. 2. 예나 시기 (1796-1802)
1796년, 독일로 돌아온 슐레겔은 프리드리히 실러의 초청을 받아 예나에 정착했다. 같은 해, 그는 의사 요한 뵈머(Johann Böhmer)의 미망인이었던 카롤리네 뵈머(후에 카롤리네 셸링)와 결혼했다. 카롤리네는 슐레겔의 문학 활동에 중요한 조력자였으나, 두 사람은 1801년 별거에 들어갔고 카롤리네는 이후 철학자 셸링과 재혼했다.
예나에서 슐레겔은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그는 실러가 주관하던 잡지 《호렌》(Die Horende)과 《무젠알마나흐》(Musenalmanachde)에 중요한 글들을 기고했으며, 《예나어 알게마이네 리터라투르차이퉁》(Jenaische Allgemeine Literaturzeitungde)에도 약 300편에 달하는 평론 등을 발표했다. 또한 단테와 셰익스피어의 작품 번역을 시작하며 문학적 명성을 쌓아갔다. 이러한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1798년에는 예나 대학교의 비정규 교수(Professor extraordinarius)로 임명되었다.
슐레겔의 집은 초기 독일 낭만주의 운동의 지적 중심지가 되었다. 1796년부터 1801년까지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동생 프리드리히 슐레겔과 그의 아내 도로테아 슐레겔,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 루트비히 티크, 노발리스 등 당대의 주요 지식인 및 작가들이 그의 집을 방문하며 교류했다. 이들은 특히 피히테의 《지식학》(Wissenschaftslehrede) 등을 함께 연구하며 낭만주의 사상을 발전시켰다.
1797년, 슐레겔 형제는 실러와 결별했다. 이듬해인 1798년, 아우구스트는 동생 프리드리히와 함께 초기 낭만주의의 중요한 기관지인 《아테네움》(Athenaeumde)을 창간하여 1800년까지 발행했다. 이 잡지를 통해 당시 큰 인기를 누리던 감상주의 소설가 아우구스트 라퐁텐의 작품을 날카롭게 비판했으며,[5] 극작가 코체부와도 문학적 논쟁을 벌였다. 이 시기 슐레겔 형제는 새로운 사상과 비평으로 주목받으며 낭만주의 운동의 지도자로 인정받았다. 슐레겔은 개인 시집을 출판하기도 했으며, 형제의 공동 에세이 모음집은 1801년 《성격과 비평》(Charakteristiken und Kritikende)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1802년 1월, 그의 희곡 《이온》(Ionde)이 바이마르에서 괴테의 지원 하에 공연되었으나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같은 해 《이온》을 출판했는데, 이는 에우리피데스 풍의 비극으로 당시 극시(劇詩)의 원리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2. 3. 베를린 시기 (1802-1804)
1801년 슐레겔은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예술과 문학에 관한 강의를 시작했다. 이듬해인 1802년에는 에우리피데스 스타일을 따른 비극 Ion|이온de을 출판하여 극시(劇詩)의 원리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이어서 칼데론의 희곡 5편을 번역한 Spanisches Theater|슈파니셰스 테아터de(2권, 1803년/1809년)를 출판했다. 1804년에는 Blumensträuße italienischer, spanischer und portugiesischer Poesie|블루멘슈트로이세 이탈리에니셔, 슈파니셔 운트 포르투게지셔 포에지de를 출간하여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의 서정시를 번역해 소개했다. 이 시기 동안 단테 알리기에리와 루이스 드 카몽이스의 작품 번역도 진행했다.[11] 같은 해인 1804년, 아내 카롤리네와 이혼했다.2. 4. 스테일 부인과의 여정 (1804-1817)
1804년 초, 베를린에서 스테일 여사를 알게 되어 그녀의 자녀들의 가정교사로 고용되었다. 아내 카롤리네와 이혼한 후, 슐레겔은 스테일 여사와 함께 스위스, 이탈리아, 프랑스 등지를 여행하며 그녀의 문학 작품에 대한 조언자 역할을 수행했다.[6]1807년, 그는 프랑스어로 된 논문 "라신의 페드라와 에우리피데스의 페드라 비교"(Comparaison entre la Phèdre de Racine et celle d'Euripide프랑스어)를 발표하여 프랑스 고전주의를 낭만주의의 관점에서 비판함으로써 프랑스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그의 유명한 연극 예술 및 문학 강의("Über dramatische Kunst und Literatur", 1809–1811 출간)는 1808년 빈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유럽 대부분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슐레겔은 예술 작품의 마법이 우리를 내적 일관성을 가진 다른 세계로 데려다 준다는 데 있다고 보았으며, 예술의 목적은 현실 세계를 단순히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유기적이고 완전한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
1810년, 슐레겔은 프랑스 문학의 적이라는 이유로 스위스 연방에서 추방당했다.[7] 1812년에는 스테일 여사, 그녀의 약혼자 알베르 드 로카와 자녀들과 함께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스톡홀름을 여행했다. 스톡홀름에서는 장 밥티스트 쥘 베르나도트(훗날 스웨덴 왕 칼 14세 요한)의 비서로 일했으며, 그의 영향력 덕분에 슐레겔 가문의 귀족 신분이 회복되기도 했다.
그 후 슐레겔은 1817년 스테일 여사가 사망할 때까지 그녀의 곁에 머물렀으며, 마튀 드 몽모랑시와 함께 그녀의 생애 마지막까지 가까이 지낸 인물 중 한 명이었다.
2. 5. 본 대학교 교수 시기 (1818-1845)
1818년 본 대학교의 인도학 교수로 임명되어 남은 생애 동안 주로 동양 연구에 전념했다. 그는 산스크리트 인쇄를 위한 특별 인쇄소를 설립했으며, 언어학자 빌헬름 폰 훔볼트와 서신을 교환하며 연구를 이어갔다. 다만, 동양학자로서 프란츠 보프가 개척한 새로운 방법론에는 완전히 적응하지는 못했다. 개인적으로는 스테일 부인이 1817년 사망한 후, 1818년 신학자 하인리히 파울루스의 딸과 결혼했지만 1821년에 이혼했다.본 대학에서도 예술과 문학에 대한 강의를 계속했으며, 1827년 《조형 예술의 이론과 역사》, 1828년 두 권의 비평문(Kritische Schriften|크리티셰 슈리프텐de)을 출판했다.[11] 특히 인도 연구에 몰두하여 산스크리트어 연구에 깊이 파고들었다.[12] 1823년부터 1830년까지 Indische Bibliothek|인디셰 비블리오테크de라는 저널을 발행했으며, 1823년에는 라틴어 번역을 덧붙인 《바가바드 기타》를, 1829년에는 《라마야나》를 편집 및 번역하여 출판했다. 이는 독일에서의 산스크리트 연구 흐름을 만드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어서 1832년에는 《Reflections on the Study of the Asiatic Languages|리플렉션스 온 더 스터디 오브 디 아시아틱 랭귀지스영어》(Über die Sprache und Weisheit der Indier|위버 디 슈프라헤 운트 바이스하이트 데어 인디어de, 아시아 언어 연구에 대한 성찰)을 출간했다.[11]
그는 언어학적 증거를 통해 게르만 민족의 기원을 찾고, 언어를 이용해 인류 이동 패턴을 재구성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를 위해 페르시아와 인도의 서사시를 연구했으며[13], 인도, 이집트, 그리스, 아즈텍 문명의 진보성을 건축, 수학, 기술 등을 통해 논증하기도 했다. 1837년에는 제임스 카울스 프리처드의 《Analysis of the Egyptian Mythology|애널리시스 오브 디 이집션 미솔로지영어》(이집트 신화 분석) 독일어 번역판에 서문을 쓰기도 했다.[14]
1835년에는 본에서 작곡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을 기리는 기념비 건립 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았다. 본 대학에서 그에게 강의를 들은 제자 중에는 시인 하인리히 하이네도 있었다. 1845년 5월 12일 본에서 사망했으며, 이는 베토벤 기념비 제막 3개월 전이었다.
3. 주요 업적 및 평가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은 독일 낭만주의 운동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으로, 문학 비평가, 번역가, 문학 이론가, 인도학자로서 다방면에 걸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주요 업적
- 문학 비평 및 이론: 슐레겔은 그의 동생 프리드리히 슐레겔과 함께 독일 낭만주의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두 사람은 낭만주의 운동의 주요 기관지였던 『아테네움』(1798–1800)을 창간하고 편집하며 새로운 문학 사조를 이끌었다.[5] 그는 예나, 베를린, 빈 등에서 진행한 강의를 통해 낭만주의 문학 이론을 체계화했으며, 특히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고 정의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4] 그의 비평은 단순히 작품을 평가하는 것을 넘어, 작품의 고유한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상세 내용은 #낭만주의 문학 이론 참조)
- 번역: 슐레겔의 가장 뛰어난 업적 중 하나는 번역 활동이다. 특히 셰익스피어 작품 번역은 독일 문학사에서 기념비적인 성과로 평가받는다. 루트비히 티크 등과 협력하여 완성한 이 번역본은 독일어 최고의 번역 중 하나로 꼽히며, 셰익스피어를 독일의 국민 시인 반열에 올려놓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상세 내용은 #셰익스피어 번역 참조) 이 외에도 그는 스페인의 극작가 칼데론의 희곡들을 번역한 Spanisches Theater|에스파니올 테아테르de(2권, 1803/1809)와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시를 번역한 Blumensträusse italienischer, spanischer und portugiesischer Poesie|블루멘슈트라우세 이탈리아니셔, 에스파니셔 운트 포르투게지셔 포에지de(1804) 등을 통해 유럽의 다양한 문학 작품을 독일에 소개했다.[11] 단테와 카몽이스의 작품 번역 역시 그의 중요한 업적이다.[11]
- 인도학: 1818년 본 대학교 교수로 임용된 후, 슐레겔은 인도 문화와 산스크리트어 연구에 깊이 몰두하여 독일 인도학 연구의 선구자가 되었다.[12] 그는 1823년부터 1830년까지 인도학 전문 학술지인 Indische Bibliothekde를 발간했으며, 1823년에는 라틴어 번역을 덧붙인 ''바가바드 기타''를, 1829년에는 ''라마야나''를 편집하여 출판했다. 이러한 활동은 독일뿐 아니라 유럽 전역에 인도 사상과 문화를 소개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11] 그는 언어학적 증거를 통해 민족의 기원과 이동을 연구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페르시아와 인도의 서사시를 연구하기도 했다.[13] (상세 내용은 #인도학 연구 참조)
평가슐레겔은 뛰어난 번역가이자 영향력 있는 문학 비평가로서 독일 문학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그의 셰익스피어 번역은 오늘날까지도 높이 평가받는 불후의 업적으로 여겨진다. 비평가로서는 레스싱과 헤르더의 비평 이론을 계승하면서도, 작품의 개별성과 특성을 중시하는 낭만주의적 비평 방법론을 확립하여 유럽 문학 비평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의 강의와 저술은 당대 지식인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러나 독창적인 시인으로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는다. 그의 시는 형식적인 완성도는 높지만 독창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으며, 직접 창작한 희곡 《이온》 등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또한, 동시대 문인들과의 관계에서 다소 논쟁적이고 까다로운 성격이었다는 비판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상세 내용은 #비판 참조)
3. 1. 셰익스피어 번역
슐레겔은 예나 시절부터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번역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그의 문학적 명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루트비히 티크, 그의 딸 도로테아 티크, 그리고 볼프 하인리히 그라프 폰 바우디신 등과 함께 셰익스피어 희곡을 독일어로 번역하는 작업에 참여했다. 이 번역은 매우 시적인 것으로 평가받는다.흔히 '슐레겔-티크 번역'이라 불리는 이 결과물은 독일어로 된 최고의 시적 번역 중 하나로 꼽히며, 셰익스피어를 독일의 국민 시인 반열에 올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슐레겔의 셰익스피어 번역본은 여러 차례 재판되었으며, 1871년부터 1872년 사이에 나온 판본은 미하엘 베르나이스(Michael Bernays)가 슐레겔의 원고를 바탕으로 수정하기도 했다. 이 번역 작업에 대한 연구로는 미하엘 베르나이스의 Zur Entstehungsgeschichte des Schlegelschen Shakespeare|슐레겔 셰익스피어 번역의 탄생사에 관하여deu(1872)와 루돌프 게네(Rudolph Genée)의 Schlegel und Shakespeare|슐레겔과 셰익스피어deu(1903) 등이 있다.
3. 2. 낭만주의 문학 이론
슐레겔은 레스싱과 헤르더의 전통을 이어받아 문학 비평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4] 그는 레싱의 명료함이나 헤르더의 개성적인 스타일과는 다른 방식으로, 더 넓은 예술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비평에 접근했다. 슐레겔은 문학 비평이 미리 정해진 미적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각 예술 작품의 고유한 개성을 공감적으로 파악하고 그 특성을 드러내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 비평가의 첫 번째 의무는 우월한 입장에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 작품을 이해하고 "특징짓는" 것이라는 낭만주의 원칙을 실천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론은 괴테의 헤르만과 도로테아나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에 대한 분석에서 잘 나타나며, 새로운 해석적 비평의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4]그는 예술 작품이 모든 요소가 마치 예술가 이상의 힘에 의해 의식적으로 선택된 것처럼 보일 때 스타일을 갖는다고 보았으며, 예술가가 자신의 개성을 넘어서지 못할 경우 매너리즘에 빠진다고 구분했다.[4] 또한 철학적 관점에서 모든 것은 지속적인 창조 과정에 참여하지만, 경험적 관점에서 자연물은 마치 죽어 있고 고정되어 있으며 전체로부터 독립적인 것으로 간주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4]
슐레겔은 그의 형제 프리드리히 슐레겔과 함께 낭만주의 학파의 주요 매체인 『아테네움』(1798~1800)을 창간하여 당시 큰 인기를 끌던 감상주의 소설가 아우구스트 라퐁텐의 작품을 날카롭게 비판했다.[5] 또한 코체부와 문학적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당시 두 형제는 사상의 활력과 신선함으로 주목받았고 새로운 낭만주의 비평의 지도자로 존경받았다. 그들의 공동 에세이 모음집은 1801년 『Charakteristiken und Kritikende』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그의 문학 이론은 베를린(1801년 이후)과 빈에서 행한 강의, 특히 『Vorlesungen über dramatische Kunst und Literaturde』에 잘 나타나 있다. 이 강의는 유럽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비평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여기서 그는 '고전주의'와 '낭만주의'라는 용어를 명확히 정의하여 널리 받아들여지게 했다.[4] 널리 받아들여지는 관점에 따르면, 독일 낭만주의 운동은 한편으로는 고전주의와 신고전주의에서 옹호하는 미적 이상에 대한 반작용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계몽주의의 합리적 원리에서 벗어나 중세의 비합리적인 정신으로의 후퇴로 나타났다.[4] 슐레겔은 이러한 낭만주의 문학의 특징을 강조하며, 프랑스의 고전주의 문학을 비판하기도 했다.
셰익스피어에 대한 그의 번역과 비평은 특히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루트비히 티크 등과 함께 진행한 셰익스피어 번역(슐레겔-티크 번역)은 독일어로 된 가장 뛰어난 번역 중 하나로 꼽히며, 셰익스피어를 독일의 국민 시인 반열에 올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셰익스피어 작품의 '정확성'을 옹호하고 고전주의 연극의 '세 가지 통일성'을 비판했는데, 이는 영국 문단에도 큰 영향을 미쳐 새뮤얼 존슨의 셰익스피어관을 넘어서는 계기가 되었다.[4]
슐레겔은 독창적인 시인으로서는 큰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평가도 있지만[4], 뛰어난 번역가이자 새로운 비평 방법론을 제시한 비평가로서 독일 낭만주의 문학 이론 정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단테, 칼데론, 카몽이스 등의 작품과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의 시를 번역하여 독일 문학에 소개하기도 했다.[11] 그의 칼데론 희곡 번역인 『Spanisches Theaterde』(2권, 1803/1809)와 남유럽 서정시 번역 모음집인 『Blumensträusse italienischer, spanischer und portugiesischer Poesiede』(1804)는 해당 작가들을 독일 독자들에게 알리고, 로망스어권의 운율 형식을 독일어 운문에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3. 3. 인도학 연구
슐레겔은 본 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인도 문화와 산스크리트어 연구에 깊이 몰두했다.[12] 그는 1818년부터 본 대학에서 문학과 미학을 강의하며 인도 사상을 독일에 소개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이는 독일 내 산스크리트 연구의 중요한 흐름을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그는 1823년부터 1830년까지 ''Indische Bibliothek''라는 전문 학술지를 발간했다. 또한 주요 인도 고전 번역에도 힘썼는데, 1823년에는 라틴어 번역을 덧붙여 ''바가바드 기타''를 편집했고, 1829년에는 ''라마야나''를 편집하여 출판했다. 이러한 작업은 인도 사상을 유럽에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32년에는 그의 연구 결과를 집대성한 Reflections on the Study of the Asiatic Languages|아시아 언어 연구에 대한 성찰eng을 출판했다.[11]
슐레겔은 언어학적 증거를 통해 게르만 민족의 기원을 밝힐 수 있다고 믿었으며, 언어 분석을 통해 고대 인류 이동의 경로를 재구성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페르시아와 인도의 고대 서사시를 연구했다.[13]
3. 4. 비판
슐레겔은 독창적인 시인으로서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10-1911년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11판은 "독창적인 시인으로서 슐레겔은 중요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1920년판 아메리카나 백과사전 역시 그의 시가 언어적으로는 완성도가 높지만 독창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그의 희곡 《이온》은 괴테의 지지를 받았음에도 1802년 바이마르 공연에서 실패작이 되었다. 아메리카나 백과사전은 슐레겔이 이 작품에서 괴테의 ''이피게니아''에 필적하려 했으나 헛수고였다고 평가했다.
또한 문학계 인사들과의 관계에서 다툼을 좋아하고 질투심이 많았다는 비판도 있다. 1905년판 신 국제 백과사전에 따르면 그는 인색했으며, 감정이 상했을 때는 중상모략도 서슴지 않았다고 한다.
4. 저작
5. 한국과의 관계
(작성할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과의 관계'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ontinental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ongman
[3]
서적
The Life of August Wilhelm Schlegel, Cosmopolitan of Art and Poetry
[4]
백과사전
August Wilhelm von Schlegel
http://plato.stanfor[...]
Edward N. Zalta (ed.)
[5]
뉴스
Der Lieblingsdichter der Nation
http://www.zeit.de/1[...]
Die Zeit
[6]
서적
De l'Allemagne
[7]
서적
The biography of Madame de Stael
[8]
서적
The Life of August Wilhelm Schlegel: Cosmopolitan of Art and Poetry
Open Book Publishers
[9]
서적
The Life of August Wilhelm Schlegel: Cosmopolitan of Art and Poetry
Open Book Publishers
[10]
서적
The Life of August Wilhelm Schlegel: Cosmopolitan of Art and Poetry
Open Book Publishers
[11]
백과사전
Schlegel, August Wilhelm von
[12]
서적
The Life of August Wilhelm Schlegel: Cosmopolitan of Art and Poetry
Open Book Publishers
[13]
서적
The Life of August Wilhelm Schlegel: Cosmopolitan of Art and Poetry
Open Book Publishers
[14]
서적
The Life of August Wilhelm Schlegel: Cosmopolitan of Art and Poetry
Open Book Publishers
[15]
웹사이트
American Antiquarian Society Members Directory
http://www.americana[...]
[16]
웹사이트
Ion: Ein Schauspiel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